대장암 여성 발병률이 남성보다 낮은 이유, 유산균ㆍ낙산균 덕분
여성의 대장암 발병률이 남성보다 낮은 것은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 중 유익균(유산균, 낙산균) 덕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8일 발표됐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2021~2022년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대장선종 및 대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대변 데이터를 활용해 성차·연령과 장내세균총 변화, 대장암 발병 여부 등을 분석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의 2021년 발생자 수는 3만2751명으로 국내 발병률 2위에 올랐다. 1위인 갑상선암(3만5303명)에 근접한 수준이다. 대장암 발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가족력, 흡연 여부, 식습관 등이 꼽히는데, 남성 대장암 환자가 여성 대장암 환자의 1.4배에 달할 정도로 뚜렷하게 남성 환자의 비율이 높다.
이번 연구는 대장 내 미생물 환경을 조성하는 장내 세균이 남녀 대장암 발병 차이에 관여됐을 수도 있다는 걸 보여준다.
연구 결과 대장선종이나 대장암을 앓는 환자보다 그렇지 않은 건강한 사람의 장 속에 유익균이 유의미하게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여성이나 55세 이하 연령층에서 각각 유산균과 낙산균이 분포가 두드러졌다.
이같은 통계를 봤을 때 유산균, 낙산균 등 장내 유익균이 대장암 발병에 영향을 줬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성별에 따른 유익균 분포를 반영해 유산균 등과 대장 질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면 대장암을 억제하는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교수는 “건강한 여성의 장내세균총에서 발견되는 유익균을 분석해 대장암 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2019~2024년도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최근 국제학술지‘ 장관과 간(Gut and Liver)’ 온라인판에 게재됐다.